목 차 (Table Of Contents)
1. 일반사항
1.1 철근보관: 규격별 보관
1.2 자재
1.2.1 폭고정 겸용 스페이샤
1.2.2 고임대
1.2.3 면접기
1.3 배근도 체크요령
1.3.1 목적
1.2.2 체크리스트
1.4 가공장 관리
1.5 기둥 수직, 수평철근 교차부위 철근의 결속방법
1.6 철근의 구부림 가공방식에 따른 철근의 절단길이 결정(“예”)
1.6.1 cap-tie길이
1.6.2 스터럽 길이
2. 보철근
2.1 체크 포인트
2.2 스터럽의 가공시 유의사항
2.3 스터럽 가공과 배치간격“예”
2.3.1 일반보(아파트 및 부대시설)
2.3.2 테두리보(아파트 및 부대시설)
2.3.3 춤이 큰 보
2.3.4 cap-tie 가공상세도 및 간격
2.3.5 갈고리(hook)각도 및 여장길이
2.4 전기박스와의 간섭시 관련 공종간 협의
3. 벽체철근
3.1 체크포인트
3.2 수평, 수직철근의 배근시작위치와 단부 및 내부 수직근 이음길이
3.3 최상단 수평철근의 배근위치 및 배근순서
3.4 전기박스등 간섭시 관련공종간 협의
3.5 피복두께 확보방안
2.6 배근위치 이탈시 수정방법
3.6.1 벽체 수직근이 피복두께 범위 내 이탈인 경우
3.6.2 벽체 수직근이 피복두께 범위 이탈인 경우
3.7 엘리베이터 버튼박스 주위 배근
4. 기둥철근
4.1 체크포인트
4.2 주근의 배근방법
4.3 주각부와 최상부 주두의 주근 마무리방법
4.4 기둥주근의 위치 수정방법
4.5 띠철근 배근간격과 후크위치 및 가공방법
4.6 Dia-hoop근의 가공 및 설치방법
5. 슬래브 철근
5.1 체크포인트
5.2 주/부근의 위치확인
5.3 전기박스부위 보강방법
1. 일반사항
1.1 철근보관: 규격별 보관
1.2 자재
1.2.1 폭고정 겸용 스페이샤
1.2.2 고임대
1.2.3 면접기
1.3 배근도 체크요령
1.3.1 목적
1.2.2 체크리스트
1.4 가공장 관리
1.5 기둥 수직, 수평철근 교차부위 철근의 결속방법
1.6 철근의 구부림 가공방식에 따른 철근의 절단길이 결정(“예”)
1.6.1 cap-tie길이
1.6.2 스터럽 길이
2. 보철근
2.1 체크 포인트
2.2 스터럽의 가공시 유의사항
2.3 스터럽 가공과 배치간격“예”
2.3.1 일반보(아파트 및 부대시설)
2.3.2 테두리보(아파트 및 부대시설)
2.3.3 춤이 큰 보
2.3.4 cap-tie 가공상세도 및 간격
2.3.5 갈고리(hook)각도 및 여장길이
2.4 전기박스와의 간섭시 관련 공종간 협의
3. 벽체철근
3.1 체크포인트
3.2 수평, 수직철근의 배근시작위치와 단부 및 내부 수직근 이음길이
3.3 최상단 수평철근의 배근위치 및 배근순서
3.4 전기박스등 간섭시 관련공종간 협의
3.5 피복두께 확보방안
2.6 배근위치 이탈시 수정방법
3.6.1 벽체 수직근이 피복두께 범위 내 이탈인 경우
3.6.2 벽체 수직근이 피복두께 범위 이탈인 경우
3.7 엘리베이터 버튼박스 주위 배근
4. 기둥철근
4.1 체크포인트
4.2 주근의 배근방법
4.3 주각부와 최상부 주두의 주근 마무리방법
4.4 기둥주근의 위치 수정방법
4.5 띠철근 배근간격과 후크위치 및 가공방법
4.6 Dia-hoop근의 가공 및 설치방법
5. 슬래브 철근
5.1 체크포인트
5.2 주/부근의 위치확인
5.3 전기박스부위 보강방법
1.2.2 고임대
(1) 철제, 콘크리트제 또는 pvc계열제품 사용이 원칙
(2) PVC 제품사용시 유의사항
- 측면(하부 사용금지)에 한해 사용가능
- 슬래브의 경우는 천장면이 석고보드 등 불연재료 마감시 사용가능(수직 압축하중 : 330kgf/m² 이상)
1.2.2 체크리스트
(1) 피복은 적당한가?
- 주요부위의 「피목상세도」 별도작성
(2) 상/하부 철근의 구분은?
- 슬래브의 경우 유효높이에 따른 응력의 차이가 있으므로 설계자의 의도파악이 중요함(구조계산서 숙지)

(3) 콘크리트 타설은 용이한가?
- 철근배근의 복잡으로 채워넣기도 어렵고, 진동기 다짐도 어려워 재료분리 발생
- 유동성이 좋은 콘크리트 타설과 보 묶음 철근 등 배근의 변경등을 고려한다.
(4) 벽체의 폭고정근은 항상 똑같은가?
- 벽체의 두께가 같아도 폭고정근의 형상은 다름

(5) 기초 등 굵은 철근의 가공 및 설치
- 절단과 가공은 공장가공 및 선조립 공법을 검토
(예) 1층 기둥철근(기초정착과 1층 기둥철근길이를 고려)
- 이음은 겹침이음 보다는 콘크리트의 충진성과 재료 손실율이 작은 기계식이음(가스압접 등)사용을 고려
(6) bar-list 작성
2.1 체크 포인트
(1) 보주근의 단부와 중앙부의 배근방식
(2) 스터럽의 가공시 유의사항
(3) 캔틸레버보 배근방식
(4) 높이가 다른 보의 배근방식
(5) 헌치 보 배근방식
(6) 피복두께 확보방안
(7) 전기박스와의 간섭시 관련공종간 협의
2.2 스터럽의 가공시 유의사항
(1) 가공은 벤터가공기를 이용
(2) 구부림 내부각도 준수(6D이상)
(3) 여장길이 준수 : 구부림 각도(90,135)에 관계없이 모두 6D이상 준수

2.4 전기박스와의 간섭시 관련 공종간 협의
(1) 계단실 유도등 박스의 보철근과의 겹침
(2) 보 주근과 스터럽의 배근검토
(3) 공종간 작업순서와 피복두께 확보대책 수립
(4) 스터럽 간격사이로 설치토록 유도하고, 불가시 보폭증가등 검토

3.1 체크포인트
(1) 수평, 수직철근의 배근시작위치 결정
(2) 최상단 수평철근의 배근위치 및 배근순서 결정
(3) 단부 보강근과 내부 수직철근의 이음길이 결정
(4) 전기박스등 간섭시 관련공종간 협의
(5) 특수부위 보강방법 : 창/문등 개구부, 양수기함, 전기함 등
(6) 교차부위 배근방법 : 지하층과 지상층의 연결부위 등
(7) 피복두께 확보방안
(8) 배근위치 이탈시 수정방법
(9) 엘리베이터 버튼박스주위 배근방법
(10) 벽체철근의 최상층 수직철근 마감방법
- 앙카길이 확보(인장철근 이음길이)
3.3 최상단 수평철근의 배근위치 및 배근순서
(1) 벽체의 수평철근은 첫단과 최상단의 배근위치 확보가 중요함
(2) 최상단 수평철근이 슬래브면으로부터 설계간격이내가 되도록 철근책임자와의 사전협의가 필요함
3.4 전기박스등 간섭시 관련공종간 협의
(1) 수평 및 수직철근
- 중간철근 배근간격을 조정
- 첫째와 마지막 철근위치 불변
(2) 특히 전기배관이 벽체철근 밖으로 돌출되는 것은 금지
- 전기박스 직하단 가로철근 위치이동 등 검토
(3) 단부보강근과 전기박스 간섭
- 단부보강범위내 철근의 조정

3.5 피복두께 확보방안
(1) 거푸집 설치시 기 설치한 스페이셔는 거푸집 작업시 탈락될 우려가 크므로 최상단 피복두께 확보는 슬래브 거푸집 완료후 상부에서 폭고정 겸용스페이셔 등으로 고정함이 피복두께 확보에 유리함

(2) 피복두께 미흡사례



4.1 체크포인트
(1) 주근의 배근방법
(2) 주각부와 최상부 주두의 주근 마무리방법
(3) 기둥주근의 위치 수정방법
(4) 띠철근 배근간격 및 후크위치와 가공방법
(5) Dia-hoop의 가공 및 설치방법
(6) 기둥 단면의 변화시 주근의 배근방법
4.2 주근의 배근방법
(1) 주각부에만 배근한 철근(①)
- 기둥 안목간격/2 + 15d
(2) 상층기둥에 연속되지 아니한 철근(②)
- 보의 상단에서 400이상 또는 보하단으로부터 정착길이 이상 정착
(3) 하층기둥에 연결되지 아니한 철근(③)
- 보의 하단에서 400이상 또는 보상단으로부터 정착길이 이상 정착
(4) 주두부에만 배근한 철근(④)
- 기둥 안목간격/2 + 15d

4.3 주각부와 최상부 주두의 주근 마무리방법
(1) 주각부 기둥주근의 수평앙카
- 방사형 배치
(2) 최상층 주두부 기둥주근의 정착
- 원형/이형철근에 관계없이 모든 주근의 밑단부는 반드시 후크를 만들어 정착

4.4 기둥주근의 위치 수정방법
(1) 주근의 급격한 구부림
- 지진시 주근의 인장이 발생치 않아 파괴의 원인
(2) 콘크리트를 까내고 주근의 구부림 각도가 6d이상의 구부림이 되도록 원만히 구부림
(3) 구부림시 급속가열이나 열을 많이 가함 금지

4.5 띠철근 배근간격과 후크위치 및 가공방법

(1) 아파트, 복지관, 상가 띠철근 간격
- h1 : (HO/5, 기둥 장변길이, 45cm)중 큰 값
- S : ((주근직경*8), 띠철근 직경*24, 기둥 단변길이*1/2)중 작은 값
(2) 지하주차장 띠철근 간격
- h1 : 상동
- S : ((주근직경*16), 띠철근 직경*48, 기둥 단변길이)중 작은 값
(3) 후크위치

(4) 후크 가공방법 : 별도명기가 없는 경우 모두 90° 또는 135° 임
5.2 주/부근의 위치확인
특히 얇은 슬래브의 경우 주근의 위치결정은 유효높이에 따른 응력의 차이가 크므로 설계자의 의도파악이 필수적임(1. 일반사항의 1.3 배근도 체크요령 그림참조)
출처 : 알폼세상
글쓴이 : 영성성 원글보기
메모 :
'통나무집 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6평소형주택 (0) | 2017.09.02 |
---|---|
[스크랩] 가장 쉽고..폼나는 집짓기 (0) | 2017.07.26 |
[스크랩] 새 예루살렘의 치료실 공사 중... (0) | 2010.08.14 |
[스크랩] 프랭크 게리 (0) | 2010.08.13 |
[스크랩] 가우디의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 가족 성당 (0) | 2010.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