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아름다운 맛… 한정식
한정식 |
1. 한식의 특징
1) 조리상의 특징
주식과 부식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다.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조미료, 향신료의 이용이 섬세하다.
약식동원의 조리법이 우수하다. 즉 좋은 음식은 몸에 약이 된다는 근본사상이 나타나 있다.
미묘한 손동작이 요구된다.
궁중음식과 반가음식, 서민음식을 비롯하여 각 지역의 향토음식 조리법이 발달되었다.
상차림에 따른 음식의 종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2) 제도상의 특징
유교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여 잔치나 제례음식의 차림새가 정해졌다.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3) 풍속상의 특징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의례를 중히 여겼다.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풍류성이 뛰어났다.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주체성이 뛰어났다.
2. 한식 상차림의 특징
우리나라의 일상식 상차림이다.
밥상은 밥, 국, 김치를 기본으로 하여 여러 가지 반찬을 곁들인 상차림이다.
전통 상차림에서는 반찬수에 따라 3첩, 5첩, 7첩, 9첩, 12첩 반상으로 나눈다.
먹는 사람수에 따라 외상(1인용), 겸상(2인용), 두레상(3인용)을 차리기도 한다.
반찬은 조리법이 겹치지 않도록 하고, 또 같은 재료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여
영양상 균형을 이루고 맛이나 색채 등에서 다양한 식사가 되도록 하였다.
3. 반상기
밥상에 사용되는 식기를 반상기라고 하는 데 각각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밥그릇 - 주발(남자용), 바리(여자용)
국그릇 - 탕기
김치그릇 - 보시기
간장, 초간장, 초고추장 그릇 - 종지
찌개그릇 - 조치보
반찬담는 그릇 - 쟁첩
4. 반상
1) 3첩반상
기본적인 밥, 국, 김치, 장 외에 세가지 찬품 (숙채 또는 생채, 구이, 장아찌)을 내는 반상이다.
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에 둔다.
수저는 국그릇 뒤에 두고 젓가락은 숟가락 뒤에 붙여 놓는다.
수저 끝이 3cm정도 밖으로 나오도록 한다.
장류는 상의 중심에 두고 김치는 중심에서 뒤쪽에 둔다.
2) 5첩반상
밥, 국, 김치, 장, 조치 외에 다섯 가지 찬품을 내는 반상이다.
첩 수에 들어가지 않는 음식- 밥, 국, 김치, 장, 초간장, 조치
첩 수에 들어가는 음식 - 숙채 또는 생채, 구이 또는 조림, 전류, 마른반찬 또는 젓갈
5첩반상에서는 반찬중에 전유어가 더 있으므로 초간장을 놓아 종지를 2개로 한다.
3) 7첩반상
양반가 대갓집의 상차림이다.
첩수에 들어가지 않는 음식 - 밥, 국, 김치, 장, 조치, 찜, 전골
첩수에 들어가는 음식 - 숙채, 생채, 구이, 조림, 전, 마른 반찬, 젓갈, 회, 장아찌
7첩반상이상에서는 곁상이 따르며 곁상에서는 반주와 반과를 차려 놓는다.
4) 9첩반상
양반가 대갓집의 상차림이다.
첩수에 들어가지 않는 음식 - 밥, 국, 김치, 장, 조치, 찜, 전골
첩수에 들어가는 음식 - 숙채, 생채, 구이, 조림, 전, 마른 반찬, 젓갈, 회, 장아찌
장류가 3개, 조치류(찜, 찌개)가 2개 놓인다.
5) 12첩반상
왕과 왕비, 왕대비, 대왕 대비에게 평소에 올리는 진짓상으로 수라상이라고도 한다.
식전에 보약이나 율무를 드시고 아침수라는 10시가 지나야 드신다.
상은 3개를 쓰고 각각 한 사람씩 수라상궁이 앉아서 시중을 든다.
오른쪽은 따뜻한 음식, 젓가락이 자주 가는 음식, 조미료를 찍어 먹는 반찬을 놓고
왼쪽은 약간 간이 세고 밑반찬이 되는 장아찌나 젓갈류, 마른반찬,나물,조림등을 놓는다
'요리 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식(食)생활 자료 모음 (0) | 2010.06.20 |
---|---|
[스크랩] 오늘은 동지날 팥죽 배달왔습니다 (0) | 2010.06.20 |
[스크랩] 메주 띄우기 (0) | 2010.06.20 |
[스크랩] 청국장 만드는 법 (0) | 2010.06.20 |
[스크랩] 김장을 맛있게 하는 비법 (0) | 2010.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