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아리우스논쟁과 니케아 회의 <<아리우스논쟁과 니케아 회의>> 그리스도의 복음을 듣는 우리가 성경이 말하는 아들들이 누구인지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최초의 기독론 논쟁인 삼위일체 논쟁의 중심에 서있는 아리우스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간단하게나마 복음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정리해 .. 목회신학대학원1·6교실/교회사1교실 2014.06.11
[스크랩] 칼케돈 신조(451) 및 공의회 칼케돈 신조(451) http://cafe.daum.net/yangmooryvillage/1UuB/141 거룩한 교부들을 따라 우리는 한 분이시요 동일하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고백하며 모두가 일치하여 가르치는 바는 그 동일하신 분은 신성에 있어서 완전하시며 동일하신 분이 인성에 있어서 완전하시며, 참으로 하나님이시며 참.. 목회신학대학원1·6교실/교회사1교실 2014.06.11
[스크랩] 펠라기우스 논쟁 펠라기우스 논쟁 -- 역사적으로 볼 때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파 사이에 벌어진 분쟁은 기독교에 관한 근본적으로 다른 두 개의 개념 사이에 벌어진 충돌이었다. -- 이 논쟁은 펠라기우스에 의하여 유발된 것이 아니라 그의 제자인 코일레스티우스(Coelestius)의 일부 가르침 때문에 일어났다... 목회신학대학원1·6교실/교회사1교실 2014.06.11
[스크랩] 도나투스 논쟁 도나투스 논쟁 도나투스와 어거스틴의 논쟁은 초기 교회사에서 매우 중대한 사건 중에 하나로 손꼽힌다. 이 논쟁으로 인해 초기 어거스틴의 신학이 좀 더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아래에 자세히 도나투스와 어거스틴 논쟁의 초점을 언급하였다. 도나투스파는 4세기 초, 곧 디오클레티아누.. 목회신학대학원1·6교실/교회사1교실 2014.06.11
[스크랩]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의 생태신학적 함의 / 이재돈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의 생태신학적 함의 글 / 이재돈 교수 (가톨릭대학교) ----------------------------------------------------------- 1. 들어가는 글 2. 아퀴나스 사상의 역사적 배경 3. 아퀴나스 사상이 지닌 생태신학적 연관성 4. 아퀴나스 사상이 지닌 생태신학적 한계 5. 나오는 글 1. 들어가는 글 현.. 목회신학대학원1·6교실/기독교윤리교실 2014.06.06
[스크랩] 새찬송가 ppt 다운받기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메일 주세요... 21세기 찬송가 목록.pp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찬송가 교실 2014.05.28
[스크랩] [[십자군 전쟁]] [[십자군 전쟁]] 편집(E) • 랜덤(A) 위키방 (상세 정보) 위키문법 • 원문 • 편집 • 수정 내역 • 위키방 검색: 갱신된 시각: Tue, 16 Nov 2010 23:56:19 +0900 마지막으로 고친 시각: 2010-11-16 22:42:21 랜덤(A) • 바뀐글(더) The Crusades Contents 1 개관 2 본편 2.1 1차 십자군 원정 2.2 2차 십.. 십자군전쟁교실 2014.05.25
[스크랩] 십자군전쟁[2] 4. 헝가리 전투 일단 민중 십자군이라고 해서 은자 피에르에 의해 구성된 일사분란한 조직은 아니란 것은 앞에서 언급했다. 은자 피에르가 이끄는 본대에 해당하는 민중 십자군 이외에도 몇개의 독립적인 조직들이 존재했는데, 이들 중 일부는 다시 콘스탄티노플에서 만나서 합쳐지기도 .. 십자군전쟁교실 2014.05.25
[스크랩] 십자군전쟁[1] 1. 클레르몽 공의회 (Council of Clermont) 프랑스 중부의 도시 클레르몽에서는 1095년 11월 19에서 28일까지 대규모의 공의회가 열리고 있었다. 이 때 참가한 중요한 성직자의 숫자만 3000명에 달했을 정도이다. 그리고 이 공의회가 지금까지 기억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바로 이 때 교황에 연설에.. 십자군전쟁교실 2014.05.25